티스토리 뷰
🔥 "CPU는 어떻게 점점 더 똑똑해졌을까? 진화의 역사 3화 부록– ‘멀티코어 시대의 개막’"
Digital-World 2025. 5. 3. 01:40
🧠 1. ‘코어’ 하나로는 부족해! 멀티코어의 탄생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CPU는 하나의 코어(중앙 처리 장치 핵심 부분)를 가지고 있었어요. 당시에는 하나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기술의 중심이었죠. 그런데 기술이 발전하고, 컴퓨터가 처리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아지면서 한 가지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코어 하나로는 이제 감당이 안 되는 거예요.
음악을 틀면서 인터넷도 켜고, 게임도 돌리고, 영상 편집까지 하려면? 하나의 코어로는 도저히 못 버티는 상황이 온 거죠. 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멀티코어 CPU"입니다.
🔧 2. 듀얼코어? 쿼드코어? 옥타코어? 그게 뭔데?
멀티코어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코어가 하나의 CPU 안에 들어 있다는 뜻이에요.
- 듀얼코어(Dual Core): 코어 2개
- 쿼드코어(Quad Core): 코어 4개
- 옥타코어(Octa Core): 코어 8개
- 그 이상도 가능!
이렇게 코어 수가 많아질수록 컴퓨터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 즉 병렬처리 성능이 좋아져요. 예를 들어, 게임을 하면서 방송 송출도 한다면, 하나의 코어는 게임을, 다른 코어는 방송을 담당하게 되는 거죠. 덕분에 시스템이 훨씬 안정적이고 빠르게 돌아갑니다.
🚀 3. 인텔 vs AMD, 멀티코어 전쟁 시작
멀티코어 시대의 시작점에서는 인텔이 든든한 1등이었어요. ‘듀얼코어’, ‘쿼드코어’를 대중화시켰고, i5, i7 시리즈로 많은 유저들을 사로잡았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AMD가 반격을 시작합니다.
AMD는 '라이젠(Ryzen)' 시리즈를 통해 무려 6코어, 8코어, 심지어 16코어까지 일반 소비자용 CPU로 만들어버렸어요. 여기에 '멀티스레드 기술'까지 넣어서, 물리적인 코어 수보다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형님 CPU 구성에도 들어간 'Ryzen 5 7600X'나 'Ryzen 9 7900X' 같은 제품이 바로 그 멀티코어 시대의 총아예요.
🎮 4. 코어 수 많으면 게임도 잘 돌아가요?
이 질문은 진짜 많이 받는 질문이에요. 결론부터 말하면, “게임만 한다면 코어 수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 게임은 대부분 싱글코어 성능을 더 중요하게 보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요즘은 멀티코어 최적화가 잘 된 게임들도 많아지고 있고, 스트리밍이나 녹화 같이 부가적인 작업이 있다면 확실히 많은 코어가 유리합니다.
예: 배틀그라운드, GTA5, 사이버펑크2077 같은 고사양 게임은 멀티코어 지원이 좋아요.
📈 5. 앞으로는? AI도 멀티코어로!
요즘은 단순히 코어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 효율까지 따지는 시대예요. 예를 들어, 인텔의 **P코어(성능 코어)**와 **E코어(효율 코어)**처럼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코어를 섞는 방식도 등장했어요. 여기에 AI 가속기까지 들어간 최신 CPU들도 나왔죠.
앞으로는 단순한 ‘속도 경쟁’이 아니라 에너지 효율, AI 처리 능력, 멀티코어 최적화가 핵심이 될 거예요.
✅ 정리하자면
- 멀티코어 CPU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빠르게 처리하게 해줘요.
- 인텔과 AMD는 멀티코어 기술로 경쟁하면서 기술 발전을 이끌었어요.
- 게임, 방송, 영상 편집, AI 등에서 멀티코어는 큰 이점이 있어요.
- 앞으로는 코어 수뿐 아니라 **‘똑똑하게 일하는 코어’**가 중요해질 거예요.
'인류가 만든 우주 IT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화]CPU 병목을 피하는 세팅: 실전 튜닝 가이드 (0) | 2025.05.03 |
---|---|
[4화] CPU와 메모리: 속도의 균형을 맞추는 기술 (0) | 2025.05.03 |
[3화] CPU의 언어, 아키텍처란 무엇인가? x86 vs ARM vs RISC-V (1) | 2025.05.03 |
[2화] CPU의 진화 – 싱글코어에서 멀티코어로, 그리고 그 너머 (0) | 2025.05.03 |
[1화] 컴퓨터의 탄생 배경: CPU, 컴퓨터의 두뇌가 세상에 태어나다 (0) | 2025.05.03 |